티스토리 뷰

반응형

사실 발표난 지는 한참 지났지만 블로그 오늘 시작한 관계로 오늘 포스팅!!

 

2018년 3월에 정보처리기사 필기 1회차 시험을 본 뒤 1년가량이 지난 3월 이대로는 안되겠다 싶은 마음에 정보처리기사 실기 시험 신청을 덜컥해버렸다...

하지만 그전까지 실기 준비는 전혀 해두지 않은 상태였기 때문에 한 달가량 남은 시간 동안 합격을 할 수 있을지 정말 의문이 들었다. 사실은 필기 준비도 일주일 남짓 모의고사만 열심히 풀고 턱걸이로 간당 간당하게 합격한 상태라 자신이 있을 리 만무한 상태... 하지만!! 한 달간 열심히 준비한 결과!! 실기 시험을 한 번에 통과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제 친구들도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실기 준비를 하고 있는데 제 경험을 토대로 친구들에게 알려주었던 팁을 공유해볼까 합니다!!!

 


공부기간


위에서 말씀드렸다시피 저는 별생각 없이 있다가 갑자기 실검에 뜬 큐넷을 보고 급한 마음에 신청을 진행해버린 관계로

한 달가량의 시간이 남아 있었는데여..

그때 집에서 운영하는 식당 일을 도와주고 있던 관계로 하루에 3시간에서 4시간가량을 투자하여 공부를 진행 했습니다!! 그러니까 한 달에3~4시간 정도를 투자하면 합격! 할 수 있다는 말이져!!

 


공부 방법


우선 실기의 점수 배점은

알고리즘 :: 25점

데이터 베이스 :: 25점

업무 프로세스 :: 25점

신기술 동향 :: 15점

전산 영어 :: 10점

 

총 5과목 100점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다행인 점은 필기와는 다르게 과락이 존재하지 않는데요 또한 과목 별로 문제가 출제되지 않고 

무작위로 섞여 나오는 주관식 문제를 풀게 됩니다.

주관식과 단답형, 서술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OMR 카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사인펜을 챙기실 필요가 없습니다!!



이제 본격적인 공부 방법에 대해 이야기를 해드리자면 필기와는 다르게 실기는 

교재가 꼭 필요합니다. 책이 없으면 공부하기 힘든 과목도 있고 무엇보다도 내용이 엄청나게 많기 때문인데요

따라서 꼭 교재는 구입하시거나 주변 분들에게 받기를 추천드립니다!!

 

알고리즘

 

우선 시나 공이라는 책을 교재로 삼아 공부를 했고요  이 주일을 알고리즘에 꼬박 할애했습니다.

알고리즘은 한 번 이해해두면 나중에 보거나 비슷한 문제가 나오면 쉽게 풀 수 있기 때문인데요

저와 같은 전공자라면 확실히 아는 문제는 예제만 풀고 넘어가시고 비전공자라면 원리를 정확히 이해할 때까지 

생각하고 풀어보는 것을 반복하셔야 할 것 같아요!!

특히 뒷부분의 마방진과 같은 부분은 이해하기 어렵거나 까다로울 수 있는데 

그런 경우 저는 시나공에서 제공하는 동영상 강의를 시청했습니다.(책을 구매하면 볼 수 있어요!)

꼭꼭 푸는 방법이 아닌 원리를 이해하시길 바랍니다!

 

데이터 베이스

 

2단 원인 데이터 베이스는 사실 필기에서 나왔던 문제들과 거의 유사해요

필기시험에서도 데이터 베이스 점수가 가장 잘 나왔는데요.

그래서 저는 특별히 데이터 베이스에 많은 시간은 투자하지 않았습니다.

한 번 정도 책을 정독한 후에 시나공에서 책에 표시해둔 출제 빈도가 A, B인 부분을 집중적으로 공부했습니다.

 

업무 프로세스

 

본격적으로 실기 공부가 Hell 되는 시간.. 3~5단원인데요.

책을 구하셔서 보시면 아시겠지만 분량이.. 장난이 아니에요

그 분량 전체가 암기 범위이고 시험에 출제되었었던 기출문제인 셈인데 양이 진짜 많아요..

거기다 대부분 영어 줄임말 BPR, BPM 이렇게 유사한 영어 줄임말이 대부분이라 공부하실 때 엄청 당황스러우실 텐데요

저 같은 경우는 개념을 정리하면서 영어 줄임말이 아닌 전체 영어로 정리했어요

BPM -> 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업무 재설계)

왜냐하면 개념을 읽어보시다 보면 눈치채겠지만 결국 이름을 해석해 놓은 거라는 느낌을 받을 때가 많거든요 

그래서 차라리 줄임말이 아닌 전체를 외우는 게 정리가 더 잘 되는 느낌이었습니다.

 

IT 신기술 동향 및 전산 영어

 

 

4단원 신기술 동향 역시 3단원과 마찬가지로 외울 내용이 정말 방대합니다. 어마 무시 할 정도로요..

옛날에 나온 기술부터 정말 최근에 나오는 기술까지 심지어 시험에 처음 출제된 문제는 계속해서 추가되는 것 같아요

그렇게 때문에 양이 정말 외울 수 없을 정도로 많은데요.

따라서 이 부분은 앞선 3과목을 정말 잘 준비한 다음에 천천히 시간을 투자해서 외우시는 걸 추천드려요

3개의 단원만 제대로 공부하셔도 60점은 넘길 수 있으니까요! 

전산 영어와 같은 경우는 따로 개념을 갖고 공부하는 과목은 아니기 때문에 

따로 공부하는 방법이 존재하지는 않는 것 같아요. 

위의 다른 과목들에서 배운 내용이 영어 지문으로 나온다는 것 정도 개념 공부보단 독해 공부가 필요.. 한ㅎㅎ..

 

 

 


개인적인 팁


저는 기본적으로 위에 설명드린 방법으로 공부를 진행했는데요.

제가 공부하면서 느낀 점은 책만 보면서 공부할 때는 저어엉~말 집중이 잘 안되고 중간중간에 딴짓을 하게 되더라고요

그래서 저는 그럴 때마다 기출문제를 풀었어요.

아 참 실기 시험은 따로 공개가 되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 출제된 기출문제가 따로 없습니다.

저는 시나공에서 제공하는 기출문제를 풀었어요

(시나공 쪽에서 시험 보신 분들의 기억을 토대로 만든 기출문제라고 합니다)

또한 기출문제를 풀고 틀린 문제는 오답노트를 정리했는데요

이렇게 오답 노트를 정리하는 게 좋은 이유가 시험 당일 다른 것들은 챙기지 않아도 

이 오답노트 하나만 있으면 시험 직전까지 자신이 틀렸던 문제, 헷갈리는 문제를 다시 정리할 수 있습니다!!

오답노트 정말 좋아요!!



또한 추가적으로!!! 정말 제가 드리는 꿀팁!



바로

 

앱 스토어에도 있어요!! 퀴즐렛!!

바로 이 어플 퀴즐렛!!!

 

이 어플은 사람들이 정리해놓은 일종의 단어장? 과 비슷한 느낌인데요.

여러 사람들이 문제와 답을 적어 두어서 원하는 것을 선택하고!! 그냥 풀기만 하면 됩니다!

아까 말했다시피 책으로 공부하는 것은 제 집중력에 한계가 있었는데

퀴즐렛을 통해서 계속해서 문제를 푸는 형식으로 공부하니까 집중이 잘 되더라고요

그리고 스마트폰 어플이다 보니 어디서든 시간 날 때마다 짬짬이 계속 문제를 풀 수 있어요

3~4단원을 이 어플을 통해 집중적으로 공부를 했는데요

개인적으로는 책을 읽으면서 공부하는 거보다 훨씬 잘 외워지고 기억이 남았어요

정말.. 외울 때까지 푸는 느낌...?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이 어플을 이용해서 공부하니까 정말 풀어 볼 수 있는 문제가 많았어요

정보처리기사만 처도 수십 개는 나올 정도.. 

책 보면서 외우기 힘들고 공부하기 힘든 3~4단원은 제 팁대로 퀴즐렛을 통해 공부해보세요!

 


마치며


어쩌다 보니 시나공, 퀴즐렛 광고 글 같은 느낌이 되어버렸는데

그런 건 전혀 아니고요 제가 써본 책과 어플을 토대로 이야기를 하다 보니 저렇게 됐네요 ㅎㅎ..

다들 한 번에 정처기 실기 합격하시길 바랄게요!!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